보편사의 어떤 문제를 연구하든, 근대 유럽문명의 산물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자문하게 만든다.
즉 (우리가 보통 그렇게 생각하듯이) '보편적'의의와 가치를 지닌 발전선상에 놓여있는 듯한 문화적 현상이
서구문명에서, 그리고 오직 서구문명에서만 나타난 사실은 어떤 일련의 환경들에 귀속될 수 있는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오직 서구에만 우리가 오늘날 타당한 것으로 인정하고 있는 발전단계에 오른 과학이 존재한다.
그러나 경험적 지식, 우주와 삶의 문제에 대한 반성, 가장 심오한 종류의 철학적이고 신학적인 지혜 등은
서구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물론 이슬람과 다른 인도의 몇몇 종파에서는 단지 단편적 신학만이 존재했기 때문에
앞에 말한 종류의 지혜가 체계적 신학의 만개한 발전에 이른 것은 헬레니즘 영향 아래서 기독교만 국한되지만
간단히 말해서 매우 세련된 지식과 관찰은 다른 곳, 특히 인도, 중국, 바빌론, 이집트 등에도 존재했다.
...........
아마 과학사 강의에서 학습했던 내용으로 추측된다.
문득 공부했던 공책들을 정리하다가 기록으로 남길만한 가치가 있는 내용인 것 같아 적어보았다.
내가 직접 적은 글은 아닌 듯 하며, 어디서인가 발췌한 듯 하다. 정확한 출처는 모른다.
고민해볼 법한 생각이다.
+ REPLY
이 글이 어디서 나왔는지 찾았다!
막스 베버가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의 앞 부분에서 말했던 내용이었다.
그런데, 이 사실을 알고나니... 또, 이 뒷 내용을 읽어보니
이게 서구중심적 시야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내용이 아니었다!
오히려 동양의 지식과 관찰 보다 서구의 합리주의적, 과학적 관점이 더 진보한 단계라는 것을 말하는 내용이었다.
위에 적었던 내용과 완전히 상반된 내용을 전개하고 있었던 것이다...
나의 무지와 몰이해가 오해와 오류를 낳았던 것이었다.
다시 한번 느낀다. 세상은 아는 만큼 보이며, 경험한 만큼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